외국에서 쇼핑할 때 가장 헷갈리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사이즈 표기법입니다. 저는 한 번 일본 여행 중 신발을 구입하려다가 당황했던 적이 있습니다. 국내에서 평소 250mm 신발을 신는데, 매장에서 US 사이즈로 표기된 신발을 보고 어리둥절했던 기억이 나네요. 다행히 매장 직원의 도움으로 문제를 해결했지만, 이런 경험이 있던 후로는 각 나라의 사이즈 표기법을 미리 확인하는 습관이 생겼습니다.
사실 신발과 옷의 사이즈 표기법은 나라마다 다르기 때문에 혼란스럽기 쉽습니다. 예를 들어, 신발의 경우 한국은 보통 mm 단위를 사용하지만, 미국은 US 사이즈, 유럽은 EU 사이즈, 일본은 cm 단위를 사용합니다. 옷도 마찬가지로 S, M, L 같은 글로벌 표기 외에 각 국가에서 선호하는 독자적인 체계가 있죠. 이로 인해 해외에서 직접 옷을 입어보지 않고 구매할 경우 실패 확률이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아래는 주요 국가들의 신발 및 옷 사이즈 표기법을 정리한 표입니다. 해외 쇼핑이나 여행 시 참고하면 유용할 것입니다.
신발 사이즈 비교표
한국(mm) | 미국(US, 남성) | 미국(US, 여성) | 유럽(EU) | 영국(UK) | 일본(cm) | 중국(CN) | 호주(AU) |
230 | 5 | 6.5 | 36 | 3.5 | 23 | 36 | 5 |
240 | 6 | 7.5 | 38 | 4.5 | 24 | 38 | 6 |
250 | 7 | 8.5 | 40 | 6 | 25 | 40 | 7 |
260 | 8 | 9.5 | 42 | 7 | 26 | 42 | 8 |
270 | 9 | 10.5 | 44 | 8 | 27 | 44 | 9 |
280 | 10 | 11.5 | 46 | 9 | 28 | 46 | 10 |
옷 사이즈 비교표
한국(85/90/95 등) | 미국(S/M/L 등) | 유럽(36/38/40 등) | 일본(7/9/11 등) | 중국(160/165/170 등) | 호주(S/M/L 등) | 영국(UK) |
85 | XS | 36 | 7 | 160/80A | XS | 6 |
90 | S | 38 | 9 | 165/84A | S | 8 |
95 | M | 40 | 11 | 170/88A | M | 10 |
100 | L | 42 | 13 | 175/92A | L | 12 |
105 | XL | 44 | 15 | 180/96A | XL | 14 |
속옷 사이즈 비교표
한국(75A/80B 등) | 미국(34A/36B 등) | 유럽(75A/80B 등) | 영국(34A/36B 등) | 일본(AB75/AB80 등) |
70A | 32A | 70A | 32A | AB70 |
75A | 34A | 75A | 34A | AB75 |
80B | 36B | 80B | 36B | AB80 |
85C | 38C | 85C | 38C | AB85 |
90D | 40D | 90D | 40D | AB90 |
베트남과 태국의 경우 신발 및 옷 사이즈는 주로 유럽(EU) 표기법을 따릅니다. 따라서 별도의 열로 분리하기보다는 유럽 표기와 동일하게 간주해도 무방합니다. 다만, 특정 브랜드나 로컬 매장의 기준이 다를 수 있으니 구매 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물론, 표기법이 동일하더라도 브랜드마다 사이즈가 조금씩 다를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유럽 브랜드는 일반적으로 한국인 체형보다 작게 나오는 경우가 많으니, 구매 전에 사이즈 가이드를 꼭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개인적으로 해외 직구를 자주 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이런 정보에 익숙해졌지만, 처음 해외 쇼핑에 도전하는 분들은 간단한 표 하나만 가지고 있어도 큰 도움이 될 거예요. 각국의 사이즈 체계는 단순히 숫자가 아닌 문화와 생활 방식이 반영된 결과물이라는 점도 흥미롭게 느껴집니다. 여러분도 이 정보를 바탕으로 더욱 편리한 쇼핑 경험을 즐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