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불완전한 존재이기에 인간은 마음의 평정을 원합니다. 그러나 삶에서 마음의 평정을 깨뜨리는 내적 외적인 사건들이 생기게 마련입니다. 특히 사회적이나 도덕적으로 용납되지 못하는 충동, 욕구, 감정 등은 마음의 평화를 깨뜨리는 위험으로 인식되어 불안을 일으킵니다. 다시 말하면 불안은 본능과 초자아의 대립으로 생깁니다.
불안에는 생존 불안, 신경증적 불안, 도덕적 불안 세 가지가 있습니다. 신경증적 불안은 원초아가 강해지면 생기고, 도덕적 불안, 사회적 불안(대인공포, 발표불안 등)은 초자아가 강할 때 생기는 불안입니다.
인간은 불안과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 심리적 방어기제를 사용합니다. 자아는 상황에 따라 필요한 방어기제들을 무의식적으로 동원하여 작동시킵니다. 대부분 한 번에 한 가지 이상의 방어기제가 동원됩니다. 어떤 방어기제를 주로 쓰느냐에 따라 개인의 성격에 나타나는 특성이 달라집니다.
방어기제의 목적은 현실 왜곡입니다. 자아는 방어기제를 이용해 불안을 회피하면서 한편으로 본능적 욕구를 부분적으로 충족시켜 마음의 갈등과 충돌을 해소시킵니다. 이 때 나타나는 행동이 과해지면 "증세"라고 표현합니다. 내가 평소에 어떤 방어기제를 자주 쓰는지 확인해 보고 어떤 무의식이 있는지 알아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방어기제를 유튜버 김필영 님의 Youtube 채널 5분 뚝딱 철학을 참고해 간략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1단계 병리적 방어기제
부정 Denial : 자신이 감당하지 못하는 참담한 현실을 아예 부정하는 것
예) 암 판정 받은 환자
왜곡 Distortion : 현실을 받아들이거나 부정하지 못해서 왜곡하는 것
예) 고양이가 자신을 사자라고 착각
망상적 투사 Delusional Projection : 받아들이기 어려운 자신의 충동이나 욕구를 망상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뒤짚어 씌우는 것(망상 종류 : 과대망상, 피해망상, 질투형 망상, 신체형 망상)
예) 바람을 피우고 싶은 욕망을 가진 사람이 배우자가 바람을 피웠다고 의심
분리 Splitting : 매사에 옳은 것과 그른 것으로만 구분하는 방어기제.
예) 좋다-나쁘다, 옳다-그르다, 흑-백 같은 이분법으로 나누고 그 외의 감정은 무시함
2단계 미성숙한 방어기제
행동화 Acting Out : 사회적으로 금지된 행동을 오히려 해버려서 불안을 해소하는 것. 보통 파괴적이고 성적인 행동으로 표출되지만, 넓게는 정서적인 갈등이 표출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예) 물건을 조금 망가뜨렸을 때 혼나는 게 두려워 아예 부수어 버리는 경우
건강 염려증 Hypochondriasis : 다른 사람에 대한 공격적인 충동을 자신에게 질병이 있다는 두려움을 통해서 해소하는 방어기제
수동 공격성 Passive Aggression : 다른 사람에 대한 공격적인 감정을 간접적이고 수동적으로 표현함
예) 대답을 안 하거나 시키는 일에 꾸물거리며 안 하는 것
투사 Projection : 받아들이기 힘든 자신의 충동이나 욕망을 다른 사람들이 가지고 있다고 뒤집어 씌우는 것
예) 싫어하는 상사가 자기를 싫어한다고 생각하는 것, 실패를 남의 탓으로 돌림.
내사 Introjection : 다른 사람이 잘못한 것을 자기 탓으로 생각하는 것, 타인과의 동일시를 통해 타인에 대한 공격성을 자신을 공격해서 해소함.
예) 이유 없이 학대를 받은 아이가 자기가 잘못해서 혼났다고 생각하는 것
자기에게로 향함 Turning Against the Self : 타인에 대한 분노를 자신에게로 돌리는 것. 타인과의 동일시 없음.
예) 싸우다가 홧김에 자해(자살)하는 경우, 부모에게 혼나고 자해하는 아이
동일화 Identification : 이상적인 인물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방어기제
예) 부모의 권위 재력 등을 또래의 아이들에게 자랑하며 으시대는 아이
신체화 Somatization : 정신적 불안이 신체적 증상으로 나타나는 방어기제
예) 중요한 시험날 복통이 생기는 경우
전환 Conversion : 정신적 불안이 신체 증상 중에 감각기관의 마비로 나타남
예) 아버지의 임종을 지키지 못한 죄책감을 가진 자식이 아버지를 생각할 때마다 손이 마비되는 경우
3단계 신경증적 방어기제
전치 Displacement : 충동이나 감정을 만만한 대상에게 푸는 것
예) 좋아하는 연예인을 닮은 이성을 만나는 것, 상사에게 야단맞은 화풀이를 부하직원에게 하는 것
해리 Dissociation : 감정적인 고통을 피하기 위해 인격의 변화와 자기 정체성의 변화가 일어나는 방어기제
예) 헐크로 변하는 배너 박사
0000 0000지성화 Intellectualization : 자신의 공포스러운 감정을 잊기 위해서 모든 상황을 지식으로 분석하는 방어기제
예) 불면증에 시달리는 사람이 불면증의 원인에 대한 지식에 관심을 갖는 것
반동 형성 Reaction : 자신의 감정과 충동을 정반대로 표출하는 방어기제. 신경 강박증의 하나.
예) 사회공포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무의식적으로 많은 모임에 나가는 경우
억압 Repression : 불안이나 고통스러운 사건을 무의식적으로 의식하지 못하는 방어기제. 현실이 너무 괴로워 과거의 사건을 의식하지 못함.
예) 영화 셔터 아일랜드 에서 주인공이 아내가 아이들을 죽인 것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
격리 Isoation : 어떤 사건과 그 사건에 동반하는 감정을 분리시킴으로써 감정을 불러일으키지 않으려는 일시적인 방어기제
예) 연인과 헤어진 직후에 슬픔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
퇴행 Regression : 위기 이전의 상황으로 다시 돌아가려고 하는 반응
예) 동생에게 부모의 관심을 빼앗긴 아이가 대소변을 못가리면서 부모의 관심을 얻으려는 경우
철회(취소) Undoing : 초자아의 도덕적 비난을 피하기 위해서 자신의 잘못된 행위를 취소하려는 것. 일종의 속죄의식
예) 살인을 저지르고 강박적으로 손을 씻는 경우
역전 Reversal : 객체를 주체화함으로써 심리적 안정감을 찾음
예) 너의 행복이 곧 나의 행복
합리화 Rationalization : 받아들이기 어려운 충동이나 욕구에 그럴듯한 이유를 제시함
예) 시험을 망치고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 라고 말하는 경우
고착 Fixation : 성격 발달의 어느 한 단계에 머물러 다음 단계가 주는 불안에서 벗어나려는 방어기제
예) 피터팬 콤플렉스
4단계 성숙한 방어기제
이타주의 Altruism : 자신의 욕구를 충족하는 대신 타인을 도와서 만족을 얻는 방어기제
대비 Antipation :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고통스러운 상황에 과도하게 현실적인 대비를 하는 것
유머 Humor : 불안을 농담으로 해소함
예) 죽음의 공포에서도 예술과 농담으로 그 상황을 견디려는 노력
승화 Sublimation : 사회적으로 허용할 수 없는 충동을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방식으로 해소하는 방어기제
예) 폭력성을 운동으로 해소함
억제 Suppression : 불안이나 고통스러운 사건을 의식적으로 기억하려 하지 않는 방어기제. 방어기제는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억제는 방어기제에 속하는 것에 이견이 있다고 합니다. (억압은 무의식적)
예) 어두운 밤길을 휘파람을 불면서 걷는 것
금욕주의 Asceticism : 본능적인 욕구나 충동을 따르는 대신 금욕을 통해서 만족을 얻는 방어기제
예) 그리스-로마 시대의 스토아 학파
보상 Compensation : 욕망하는 어떤 것을 갖지 못할 때 다른 것으로 그 욕망을 충족하려는 것
예) 작은 고추가 맵다. 열등감을 다른 우월함으로 메꿈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난한 사람들이 보수화 되고 부자를 위한 보수 정당을 지지하는 이유(feat.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 (0) | 2022.12.1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