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생활 선배의 조언
이런 회사는 믿고 거르자!
자기소개서를 쓰는 건 이력서보다 너무 어려워요 >_<
막 사회초년생으로 입사를 준비하거나 입사한 지 얼마 안 됐는데 직장생활이 너무 힘들어서 이 회사가 맞나 의심되는 사람에게 참고가 되길 바라며 글을 정리합니다.
자기소개서인지 자소설인지 혼란스러운 글을 쓰느라 밤새워 많은 곳에 이력서를 내고 애타는 마음으로 기다리며 어렵게 면접을 봤거나, 취직한 회사인데 기대와 다르게 회사생활이 너무 힘들다면? 적응을 못하는 내가 문제인 건가 자괴감이 들기도 하고, 업무에 익숙해지다 보면 괜찮을까 고민이 됩니다.
또는 면접 볼 때 분위기가 좀 이상했는데 출근을 해야 할까? 고민하고 있다면 사회생할 선배들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믿고 걸러야 할 회사인지 확인해 봅시다.
1. 채용공고가 수시로 올라오는 회사
회사의 확장으로 직원을 모집하는지, 잦은 퇴사 때문에 직원을 모집하는지 의심해 확인해 봐야 합니다. 이럴 때는 그 회사의 재무재표와 채용공고를 동시에 확인합니다. 매출과 영업이익이 증가하는 회사는 여러 분야에서 다수의 인원을 채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1년 내내 구인 공고가 떠 있는 회사라면 입사를 고려해 봐야 합니다.
2. 입사율보다 퇴사율이 높은 회사
직원을 구해도 못버티고 그만두고, 기존 직원들은 부족한 인원으로 과중한 업무 때문에 결국 그만두게 되는 것이죠.
또 빠른 출근을 요구하는 회사는 업무량이 많거나 전임자가 그만 둬서 일할 사람이 없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사수나 전임자 없이 업무를 해결해야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구인구직 사이트 채용 공고 내에서 직원 수 추이를 알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3. 사수나 전임자가 없는 회사
4. "라떼는 말이야~" 이른바 '꼰대' 마인드 넘치는 면접관 또는 상사
퇴직 사유를 집요하게 묻는 경우도 입사 거절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사실, 퇴직 사유는 뻔한데 굳이 물어 보는 이유가 뭘까요? 님을 배려하지 않는 것입니다. 한 직장에 오래 다니는 것은 단순히 개인의 의지나 끈기의 문제가 아닙니다.
5. 가족 회사, 임원이 사원보다 많은 회사
6. 주업무보다 보조업무가 많은 회사
Olenka Sergienko 님의 사진, 출처: Pexels
그밖에 의견들
'생활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1가구2주택 주택금융공사 e-보금자리론 소득증명 대체 (0) | 2021.02.18 |
---|---|
경기지역화폐 - 20만원 충전하고 5만원 더 받았어요(선착순) (0) | 2020.11.17 |
msi 메인보드 그래픽카드 AS 수리 시리얼번호 확인 방법 드라이버 다운 (0) | 2020.07.16 |
사람이 언어를 습득하는 유일한 방법 - 그것이 외국어일지라도 (0) | 2020.07.15 |
가벼운 화상 응급처치, 얼음이 위험하다고? (0) | 2020.06.22 |